정보를 주는 앙과장
메인화면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생명과학 정보의 창
    • 실험 프로토콜
메인화면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생명과학 정보의 창
    • 실험 프로토콜
블로그 내 검색

정보를 주는 앙과장

  • 실험 프로토콜

    [Flow cytometry] 세포주기 (Cell cycle) Gating 및 분석

    2024. 3. 27.

    by. 정보를 주는 앙과

     

     

    Flow cytometry 를 이용하여 세포주기 (Cell cycle) Gating 및 분석 방법에 대해서 알아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 (Cell cycle)

     

    세포들은 모두 일정 세포주기를 가지고 있습니다. 

     

    세포주기의 단계는 크게 Interphase 단계, Metaphase 단계로 나뉘며 Interphase 단계는 

     

    G0/G1기 ~ G2기, Metaphase 단계 → Prophase ~ Mitosis의 세포 주기를 가집니다.



    세포주기가 1) 어느 단계에 머물러 있는지 혹은 2) 세포주기 정지가 되었는지, 3) 세포 사멸이 되었는지 등의 현상

     

    은 Nucleic acid 염색 후 Flow cytometry (FACS) 분석을 통해서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 (Cell cycle) 분석 샘플

     

    세포주기를 확인하기 위해서 DNA 염색이 필요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DNA 염색을 하기 위해서 PI (Propidium iodide), 7-AAD 시약 혹은 DAPI 등을 이용하여 진행하게 됩니다.

     


    세포주기 측정 원리 및 샘플 제작 방법은 아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기를 추천해 드립니다.

     

     

    [Flow cytometry] 세포주기 (Cell cycle) Protocol
     

    [Flow cytometry] 세포주기 (Cell cycle) Protocol

    세포주기 (Cell cycle)란 DNA가 두 배가 되는 S기, 염색체 분할과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M기, 그리고 이 두 시기를 준비하는 중간 기간인 G1기와 G2기로 나누어집니다. 세포 증식은 G1, S, G2 및 M 단계의

    merry.more-merrier.co.kr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 (Cell cycle) Gating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 분석에 필요한 샘플 준비가 끝나면 Flow cytometry (FACS)기기를 통해서 세포주기 (Cell cycle)

     

     

    Gating 후 분석을 진행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분석을 위해서는 두가지 스텝이 필요합니다.

     

    • 1step: FSC와 SSC Gating

     

    먼저 FSC와 SSC의 지표를 이용하여 Singlets 게이팅을 통해 doublets을 제외시켜 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 (Cell cycle) Gating
    Singlets Gating


    (참조) https://www.bio-rad-antibodies.com/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     
    • 2step: Cell Cycle Gating

     


    PI (Propidium iodide) 또는 7-AAD 시약을 사용할 경우 532nm excited 파장을 사용하시면 되고, 

     

     

    DAPI를 사용하실 경우 UV, 405nm의 파장으로 detection 하시면 됩니다.

     

    G1기, S기, G2/M기를 단계별로 세포주기의 분포 비율 확인이 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 (Cell cycle) Gating
    Cell Cycle gating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세포주기 (Cell cycle) 그래프 분석

     

    G1기, S기, G2/M기를 단계별로 세포주기의 분포 비율 확인이 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세포주기 정지(Cell arrest)가 발생할 경우, 히스토그램의 G2/M기 peak은 증가하고 G0/G1 peak은 감소합니다.

     

    세포증식이 과하게 활성화될 경우 S phase 가 상대적으로 높아지고, G1, G2/M peak는 

     

     

    상대적으로 감소함을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

     

    '실험 프로토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RNA 추출 Protocol 및 원리  (0) 2024.04.03
    IC50값 확인과 그래프 간단하게 그리기  (0) 2024.03.31
    약물 농도 계산 (몰 농도) 및 약물 처리하기  (0) 2024.03.27
    [Flow cytometry] 세포주기 (Cell cycle) Protocol  (0) 2024.03.22
    Cell viability 측정 - WST-8 assay 원리 및 Protocol  (0) 2024.03.22
    이 글을 본 사람들도 관심있게 본 글
    • RNA 추출 Protocol 및 원리 2024.04.03
    • IC50값 확인과 그래프 간단하게 그리기 2024.03.31
    • 약물 농도 계산 (몰 농도) 및 약물 처리하기 2024.03.27
    • [Flow cytometry] 세포주기 (Cell cycle) Protocol 2024.03.22
Designed by Organic
블로그 이미지
정보를 주는 앙과

티스토리툴바